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백종원의 더본코리아, 연이은 논란 속 주가 하락?

by litslog 2025. 3. 21.
반응형

'더본코리아'의 주식이 상장되어 투자자들과 악수하는 백종원의 모습

최근 백종원 대표가 운영하는 더본코리아가 출시한 통조림 햄 ‘빽햄’이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 특히, 설 선물 세트 가격 논란과 돼지고기 함량 문제로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백종원 대표는 직접 해명에 나섰지만,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는 분위기입니다.

'빽햄’ 설 선물 세트, 과도한 할인 논란?

더본코리아는 설 명절을 맞아 '빽햄' 9개들이 선물 세트를 출시했습니다. 문제는 이 제품의 가격이었습니다.

  • 정가: 51,900원
  • 온라인 할인 가격: 28,500원 (약 45% 할인)

가격 자체만 보면 큰 폭의 할인을 적용한 것처럼 보이지만, 경쟁사의 유사 제품보다 비싼 가격이라는 점이 소비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됐습니다. 일부 소비자들은 "처음부터 높은 가격을 책정한 후 큰 폭으로 할인하는 상술이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또한, 과거 백종원 대표가 “가성비 좋은 제품을 만들겠다”고 했던 발언과 달리 돼지고기 함량이 기대보다 낮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신뢰 문제로 번지고 있습니다.

백종원 대표, 직접 해명 나서다

논란이 커지자 백종원 대표는 직접 해명에 나섰습니다. 그는 “후발 주자로서 소량 생산의 한계가 있다”며 제품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한돈에서 비선호하는 부위를 많이 활용해 한돈 농가를 돕자는 취지였습니다. 4g당 고기 원가가 100원이 안 되는데, 100원을 아끼자고 고기 함량을 줄이겠습니까?”

 

하지만 소비자들의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일부 소비자들은 “한돈 농가를 돕겠다는 취지는 좋지만, 소비자 입장에서 중요한 것은 가격 대비 품질”이라며 여전히 가격이 비싸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더본코리아, 주가 하락세

빽햄 논란과 더불어, 더본코리아의 주가 하락도 화제입니다.

  • 공모가: 34,000원
  • 상장 첫날 최고가: 64,500원
  • 현재 주가: 공모가 대비 약 11% 하락

더본코리아는 지난해 11월 코스피 시장에 상장한 이후 한때 64,500원까지 치솟으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최근 제품 논란이 이어지면서 주가가 하락하고 있으며, 일부 투자자들은 백종원 대표의 브랜드 가치에만 의존한 기업 성장의 한계를 지적하고 있습니다.

농약 분무기 사용 논란까지

백종원 대표와 더본코리아를 둘러싼 논란은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최근 백종원의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2022년 홍성 글로벌 바비큐 축제 영상에서 농약 분무기에 사과 주스를 넣어 뿌리는 장면이 논란이 됐습니다.

  • 농약통을 식품에 사용하는 것이 관련 법규 위반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옴.
  • 더본코리아 측은 “식품 위생법 기준을 준수했지만, 앞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발표.

논란이 커지자 더본코리아는 관할 부서와 협의한 결과, 가급적 농약 분무기 사용을 자제할 것을 권장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연이은 사과문 발표

더본코리아는 최근 간장, 된장 등 농림 가공품의 원산지를 거짓 표기한 혐의로 형사 입건되기도 했습니다. 또한, 새마을식당 직원 블랙리스트 논란 등 여러 이슈가 겹치면서 올해 들어서만 두 차례의 사과문을 발표한 상황입니다.

  • 1차 사과문(13일): 빽햄 가격 및 품질 논란
  • 2차 사과문(19일): 농약 분무기 사용 논란 및 원산지 표기 문제

더본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백종원 대표 명의의 사과문을 발표하며,

“저와 관련된 이슈로 실망과 심려를 끼쳐드린 점을 다시 한번 머리 숙여 사과드립니다.”

라고 전했습니다.

 

현재 더본코리아는 빽햄 생산 중단을 결정했으며, 앞으로 제품 위생 및 품질 관리에 더욱 신경 쓰겠다고 밝혔습니다.

백종원의 위기, 앞으로의 행보는?

백종원 대표는 그동안 ‘서민 음식 전문가’로서 많은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하지만, 이번 논란을 통해 일부 소비자들은 백종원의 브랜드 이미지와 현실적인 가격 정책 사이에 괴리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특히, 과거에는 ‘가성비 좋은 음식’을 강조했던 반면, 최근 제품들은 소비자 기대보다 가격이 높게 책정되면서 신뢰도가 흔들리는 상황입니다.

소비자들은 진정성 있는 가격 정책과 품질 개선을 요구하고 있으며, 더본코리아가 이번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반응형